안녕하세요 SpookyChoi 입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자료해석 예시문제의 남은 보기 ㉡과 ㉢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잘못된 풀이의 예시
㉡ 2014~2019년 내내 전체 건강기능식품 매출액에서 국내 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90% 이상이다.
우선, 매출액에서 국내 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따지려면, 매출액의 구성이 [국내+해외]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. 수치를 보면 당연히 알 수 있죠, 문제는 각 년도별 전체 건강기능식품 매출액의 국내 매출액 비중이 90%를 넘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.
우선 해설지를 보겠습니다. 해설을 보면 수치를 계산하면 저렇게 나오는구나.. 그냥 그렇게만 넘어갈 수 있습니다.
절대 저렇게 하나씩 계산해 볼 수 있는 시간은 없습니다!
㉡을 본격적으로 풀어봅시다. 문장을 달리 해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'건강기능식품 매출액의 국내 매출액 비중이 90% 이상이다' 라는 말은, 해외비중이 전체 비중의 10%보다 작으면, 국내비중은 90% 이상이겠죠? 각 연도별 총 합계 매출액의 10%는 모두 해외 매출액보다 큽니다. 곧, 해외비중은 10%가 안된다는 뜻이며 국내 매출이 90% 이상이라는 말입니다. 따라서 보기 ㉡은 맞는 말입니다.
굳이 계산을 하지 않아도 대충 눈대중으로 알 수는 있습니다. 요점은, 해설처럼 정확한 계산수치가 필요치 않다는 것입니다. 문항에서 요구한 90%기준을 넘느냐 넘지 않느냐만 확인하면 된다는 것입니다.
2. 비율비교는 분자와 분모의 각 변화량!
㉢ 2019년에 건강기능식품 생산량 1톤당 생산액은 2014년에 비해 증가했다.
우선 2019년과 2014년의 각 생산량 1톤당 생산액을 나타내려면, 생산액을 생산량으로 나누면 됩니다.
*참고로 ◇◇당 ▲▲은 분수로 나타내면 ▲▲/◇◇ 입니다.
2014년도에 비해 2019년의 변화량을 살펴보면 아래처럼 분수식이 나오게 되고 분모와 분자의 변화를 살펴보면,
분모는 약 17,000 만큼 증가한 반면 분자는 약 700만큼 증가 했습니다. 잘 보시면 17,000이라는 수치는 원래 분모인 35,829의 대략 절반보다 적은숫자입니다. 50%에 못미치는 숫자이죠.
마찬가지로 분자 증가량인 700이라는 수치는, 원래 분자인 1,042의 대략 70% 수치입니다.
그럼 정리를 하면, 분모는 50% 조금 안되게 증가했지만, 분자는 70%정도 증가했습니다.
분수는 분모가 작을수록, 분자가 클수록 전체 수가 커집니다. 분모의 증가량 보다 분자의 증가량이 더욱 크니 수치는 증가 했다고 할 수 있으며, 결론적으로 생산량 1톤당 생산액은 2019년이 2014년보다 증가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옳은 것은 ㉡과 ㉢로 ②번이 정답인 문제였습니다.
자료해석 문제를 풀기 위해 모든 자료를 세세하게 들여다볼 필요는 없습니다. 보기에서 요구하는 자료를 제대로 찾아서 잘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자잘한 계산들이 많긴 하지만, 시간을 줄이는 Tip을 활용하며 많은 연습을 통해 정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.
앞으로도 많은 예시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'2. 인적성 시험 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리-자료해석 문제풀이를 통한 시간단축 ① (0) | 2023.08.20 |
---|---|
02. 인적성 공부 수리영역 Tip - 문제풀이 시간을 줄이는 법을 익혀야 하는 이유 (0) | 2023.01.17 |
01. 인적성 준비 Tip - 최대한 많은 문제집을 구해라(문제집 싸게 구하는 팁) (0) | 2023.01.03 |
댓글